안녕하세요? 오늘은 부하개폐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부하개폐기 LBS는 Load Breaking Switch의 약자입니다. 부하개폐기는 실무에서도 거의 사용할 일이 없는 설비이지만 정전 작업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종종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알고는 있어야겠습니다.
1. 부하개폐기(LBS)설치 위치
부하개폐기는 익히 아시는 바와 같이 22.9kV 수배전반의 가장 초입에 위치합니다. 전기를 조금만 공부하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부하개폐기는 부하를 끊을 때 사용하지 않습니다. 전기 공부하면서 저도 좀 헷갈리는 부분이었습니다. 분명히 부하개폐기는 부하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고 했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절대로 그렇게 하면 안 되게 되어 있습니다. 이유는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2. 부하개폐기(LBS)생김새
출처: LS산전
부하개폐기는 위의 것처럼 기본형이 있고 퓨즈 부착형이 있습니다. 위 사진은 퓨즈 부착형입니다. 4번이 한전에서 전기가 오는 쪽이고 2번이 3번 쪽에 접속되면서 전기가 통하게 되어 8번 쪽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조작은 전기로 할 때는 모터가 구동하고 수동조작을 할 때는 와이어를 돌리면 됩니다.
3. 부하개폐기(LBS) 수동 조작법
출처: LS산전
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FLEXIBLE CABLE이 달려 있고 이것을 MANUAL HANDLE로 돌려주면 수동으로 ON/OFF가 됩니다. 주목할 것은 ON/OFF시 모두 오른쪽으로 돌려야 하고 왼쪽으로는 돌리면 안 된다는 것입니다.
부하개폐기 판넬 뒤쪽에 보시면 위와 같이 조작 스티커가 붙어 있을 것입니다. 개방할 때는 우측으로 3바퀴, 투입할 때는 우측으로 25바퀴를 돌리라고 나와 있습니다. 또한 절대로 좌측으로 핸들을 돌리지 말라고 되어 있습니다.
수동핸들은 처음 설치 시에 같이 주는데, 제가 근무하는 곳은 판넬 내부에 수동핸들을 숨겨 놓았습니다. 사실 이런 수동핸들을 사용할 일이 거의 없지만 만약을 대비해서 알아야 합니다. 비유하자면 불이 났을 때를 대비해서 소화기 사용법을 알아 두는 것과 같습니다.
출처: 중원전기
부하개폐기를 투입 및 개방 시에는 위의 사진과 같게 됩니다. 모양이 좀 생소해서 그렇지 그냥 스위치와 다른 것이 없습니다.
4. 부하개폐기(LBS) 시퀀스
위 도면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부하개폐기 시퀀스에 VCB B접점이 물려 있습니다. 즉 VCB가 ON 되어 있으면 부하개폐기에 OPEN이든 CLOSE든 어떤 것도 먹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부하개폐기는 VCB가 부하전류를 차단한 후에 마지막으로 선로를 개로 하여 완전하게 전기를 차단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부하개폐기가 부하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고 배웠지만 실제로 아예 저것을 부하차단에 사용할 수 없도록 시퀀스가 되어 있는 것이죠. 왜 이렇게 해 놓았을까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하개폐기의 구조에서 보셨다시피 부하개폐기는 22.9kV와 같은 높은 전압을 안전하게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장치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VCB(진공차단기, Vacuum Circuit Breaker)에서 진공을 사용하여 아크를 잡아주고, OCB(유입차단기, Oil Circuit Breaker)에서 오일을 사용하여 아크를 잡아주고, GCB(가스차단기, Gas Circuit Breaker)에서 가스를 이용하여 아크를 잡아주는 것입니다. 괜히 VCB, OCB, GCB같은 고압용 차단기가 있는 것이 아니죠.
그렇다면 필자가 헷갈렸던 이유는 무엇인지 말씀드리겠습니다. 첫째로는 부하개폐기의 이름자체가 부하개폐기이기 때문에 부하를 개폐하는 능력이 있는 것처럼 혼동하였습니다. 두 번째로는 전기기사 공부를 할 때 위와 같은 문제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2013년 1회 전기기사 실기 문제입니다. '평상시 부하전류의 개폐는 가능하나'라고 쓰여 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이런 헷갈리게 하는 문제는 출제를 내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수배전반의 가장 초입에 위치한 부하개폐기(LBS, Load Breaking Switch)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전력 퓨즈(Power Fuse)에 대하여 (6) | 2020.08.13 |
---|---|
피뢰기(Lightning Arrester)에 대하여 (7) | 2020.08.09 |
피뢰침에 대하여 (8) | 2020.07.08 |
조명제어에 대하여 (9) | 2020.07.06 |
펌프 기동 이상시 대처법 (8) | 2020.07.04 |